본문 바로가기
life

쫀디기는 정말 불량식품일까요?

by 빛을담은기업 빛담 2022. 11. 13.
반응형

무심히 간식으로 먹던 쫀디기!

문득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쫀디기, 떡볶이, 학교 앞 간식...

가끔씩 언론매체가 떠들썩하게 보도하는

불량식품!

그런 불량식품의 대명사가 MZ세대의

레트로 열풍과 더불어  굉장히

많이 판매되고 있지요.

지난주에 충북 해외바이어초청

해외바이어수출상담회에서

만난 추억의 쫀디기...

쫀디기 종류가 하나만 있는지 알았는데

이렇게 많은 종류가 있네요!

마침 전시대 옆에 대표님이 있어서 쫀디기

불량상품의 대명사 아니냐고 솔직하게

질문을 했습니다.

대표님은 그런 말은 다 예전이라며 지금

생산하고 있는 제품은 해썹(HACCP)

인증을 다 받은 시설에서 생산하기 때문에

불량식품이라는 것은 옛날이야기라고

시원하게 답변을 해주시네요.

아시다시피 먼지 하나만 있어도 인증을 받을 수

없는게 해썹이잖아요!

대표님은 한번 맛 보고 얘기하라며 저 많은 상품을

종류대로 한아름 안겨줬습니다.

사무실로 가져와서 그냥도 먹어보고 부루스타에

구워 먹기도 했는데 직원들 반응이 어디서

이렇게 맛있는 제품을 사왔냐고

난리가 났네요!

내친김에 지난 수요일에 공장을 방문할 기회가

있어 다녀왔습니다.

공장 벽면에 생산하는 제품 포장지를 프린트

해놓은 것이 색달라보였습니다.

 

공장 전경

아쉽게도 공장은 구경할 수 없었습니다.

작업 중에는 외부인 출입금지라 공장투어를 할

수 없다고 합니다.

2층 사무실에 올라가니 여러 방송에 출연한

사진이 가득합니다.

끊임없는 제품개발을 하여 무지개쫀디기,

곤약쫀디기, 초당옥수수쫀디기 등 7종의

쫀디기를 생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루 4만개 이상 생산한다고 하니 어마어마하네요.

이번 공장방문과 대표님 설명을 듣고 쫀디기는

불량식품의 대명사라는 오명을

확실히 날려버리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일어서는 제게 대표님이 건네준 서류는

제품에 대한 시험성적서입니다.

상온에서도 산화방지제, 이산화황이 검출되지

않았다는 시험성적서입니다.

소비자가 안심하고 먹을 수 있게 유통기간도

제조일로부터 6개월까지만으로 하신다네요.

짧은 시간이지만 생산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1년 내내 간식으로 즐겨 먹는 쫀디기!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프라이팬이나 

에어프라이에 구워먹거나 튀겨 먹는 등

술안주, 간식, 캠핑 필수품 등 추워지는

요즘 더울 생각나는 쫀디기입니다.

 

댓글

  • 현재글쫀디기는 정말 불량식품일까요?

최신글

이미지
제목
글쓴이
등록일